본문 바로가기
3정보(잡)

어린이집 선임교사 지원사업 지원자격 급여 수당 업무내용

by n크리 2023. 2. 19.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담임교사의 휴가, 병가, 교육으로 인한 공백을 대신하기 위해 대체교사를 파견해 줍니다. 대체교사는 익숙하지만 선임교사는 아직 낯섭니다. 그래서 어린이집 선임교사 지원사업을 통해서 점차 선임교사 제도를 늘려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어린이집 선임교사 지원사업은 무엇인지 지원자격 급여 수당 업무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선임교사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도 써보았습니다.

 

어린이집 선임교사 지원사업

일부 지자체에서 22년도에 시행을 했습니다. 대체교사 제도가 있기는 하지만 필요한 때에 지원을 못 받기도 하고, 일주일정도 짧게 근무를 하다 보니 책임감도 부족해지고, 교사들과의 관계, 아이들과의 유대감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이집 선임교사를 운영해서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질 높은 보육을 제공하기 위해 지원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선임교사 지원자격, 업무내용

보육교사 1급 자격을 취득한 후 7년 이상 보육교사 경력이 있는 교사는 선임교사 지원자격이 됩니다. 업무내용은 평소 인사나 복무관리 등 행정사무를 담당하는 원감 역할을 하다가 필요할 경우 대체, 보조(연장반)교사 업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그리고 선임교사는 담임을 맡을 수는 없습니다.

 

○ 어린이집 행정지원 및 교직원 인사. 복무관리 등 어린이집 운영 전반에 대한 원감 역할 및 원장 부재시 업무대행

○ 보육교직원 교육. 훈련 및 부모교육에 관한 사항

○ 직장내 괴롭힘 예방 등 교직원 권리보호에 관한 사항

○ 어린이집 인력 운용 상황에 따른 보조. 연장교사 또는 대체교사 역할 등

(위 업무내용은 철원군 모집공고에서 가지고 왔음을 밝힙니다)

 

선임교사 급여, 수당

국.공립 보육교사 15호봉 수준으로 지급이 됩니다. 22년 기준으로 10호봉 급여 2,367,200원과 선임교사 수당 316,000원입니다. 경력이 짧아도 길어도 다 같이 최저시급을 받는 것이 보육교사의 현실인 것을 감안하면 월급이 꽤 많습니다. 그래서 선임교사 지원사업이 시범사업에만 그치지 않고, 제대로 시행이 되면 참 좋을 것 같습니다.

 

선임교사 지원사업 개인적인 생각

대체교사처럼 잠시만 머물렀다가 가는 것이 아니라 한 어린이집에 상주해 있으므로 인력이 부족한 어린이집에 도움이 될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원장의 행정적인 업무 위주로 일하게 되는 건 아닌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교사겸직원장'이라는 시스템을 보면 그렇습니다. 가정어린이집은 원장도 담임교사가 되어 아이들을 돌볼 수 있는데 실제는 보조교사가 그 반 아이들을 돌봅니다. 각종 서류들을 보조교사에게 시키기까지 합니다. 보조교사는 담임교사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지원을 해주는 것이므로 지원목적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서 이런 식으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8시간 근무를 하는 선임교사가 어린이집에 있다면 어떻게든 인건비를 아끼기 위한 방법으로 악용을 할까 걱정이 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쓴 선임교사 지원사업은 22년도에 시범적으로 운영을 한 사항입니다. 23년에는 아직 어떤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통합 문제가 나오고 있는 시점에서 이런 지원사업이 소용이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어떻게 되었든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서, 아이들에게 질 높은 보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모든 사업들이 진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편법을 써서 어린이집 원장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사업들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